4주간의 록다운이 풀린 뒤에도 입국자에 대한 자가격리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전자팔찌(electronic bracelets)’를 이용하자는 제안이 전문가들로부터 나왔다.
4월 7일(화) 오타고 대학의 공공보건 분야의 닉 윌슨(Nick Wilson) 교수는 언론을 통해, 전자팔찌 부착은 입국자들이 자가격리를 어기지 못하도록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바이러스 유입과 이를 제거하고자 국가가 치러야 할 막대한 희생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요구에 불과한 전자팔찌를 이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록 이에 대한 저항이 있더라도 바이러스 확산을 정지시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문제인가를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이해할 것이라고 그는 지적했다.
그는 나아가 전자팔찌는 입국자들이 격리 규정을 어겼을 때에도 접촉자들을 확인하는 등 동선 추적에도 유용할 것이라고 덧붙여 설명했다.
또한 그는 이미 외국에서 사용 중인 휴대폰을 이용한 앱과 같은 다른 장치들도 유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와 함께 동료들은 학술 블로그에 올린 자료를 통해, 원격지나 작은 마을에서 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검사소를 운영하고, 슈퍼마켓 종업원이나 트럭 운전사 등 집보다는 외부 감염 가능성이 더 높은 직종에 근무하는 사람들에게도 검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4월 7일 전해진 한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규정을 위반한 자가격리자가 많이 발생했던 한국에서도 전자팔찌 도입 문제가 공식적으로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자팔찌 부착은 내국인들은 개인 동의를 전제로 하며, 만약 입국자인 경우에는 이에 동의하지 않으면 입국을 거부하는 방식인데, 인권 침해 문제로 실제 도입까지는 상당한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코리아리뷰]
Comments 0